1152번: 단어의 개수
첫 줄에 영어 대소문자와 띄어쓰기로 이루어진 문자열이 주어진다. 이 문자열의 길이는 1,000,000을 넘지 않는다. 단어는 띄어쓰기 한 개로 구분되며, 공백이 연속해서 나오는 경우는 없다. 또한
www.acmicpc.net
1. 만들다보니 코드가 간단했습니다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= with(BufferedReader(InputStreamReader(System.`in`))) {
print("${StringTokenizer(readLine(), " ").countTokens()}")
}
2. 한줄처리도 가능합니다
fun main() {
print("${StringTokenizer(BufferedReader(InputStreamReader(System.`in`)).readLine()).countTokens()}")
}
3.
fun main(){
val br = BufferedReader(InputStreamReader(System.`in`))
val bw = BufferedWriter(OutputStreamWriter(System.out))
bw.write("${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.countTokens()}")
bw.flush()
br.close()
bw.close()
}
'개발 >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알고리즘] 백준 1929번 : 소수 구하기 (Koltin) (0) | 2020.12.06 |
---|---|
[알고리즘] 백준 2839번 : 설탕 배달 (Kotlin) (0) | 2020.12.02 |
[알고리즘] 백준 2562번 : 최댓값 (Kotlin) (0) | 2020.11.26 |
[알고리즘] 백준 10952번 : A+B-5 (Kotlin) (0) | 2020.11.19 |
[알고리즘] 백준 10871번 : X보다 작은 수 (Kotlin) (0) | 2020.11.18 |
댓글